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R&D 이슈브리프] OECD-FAO 농업 전망(Agricultural Outlook) 2024-2033 발표

  • 등록일2024-08-14
  • 조회수968
  • 분류정책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R&D 이슈브리프] OECD-FAO 농업 전망(Agricultural Outlook) 2024-2033 발표

  

◈본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2024-2033 OECD-FAO 농업 전망 보고서(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24-2033)’를 발표(2024. 7. 2.)

*OECD는 2005년부터 FAO와 공동으로 국가,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 농·축·수산물 시장의 향후 10년 전망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음

 

추진 배경


- 지난 20년간 글로벌 농업 시장은 크게 진화했으며,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농업 및 식품 정책의 미래를 계획


- 식량 손실 및 낭비 감소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식량 안보와 자원 사용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목표 수립


- COVID-19 팬데믹, 지정학적 긴장, 기후변화 등 최근의 글로벌 도전과제를 고려한 정책 계획의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


주요 전망

1. 신흥 경제국*의 시장 발전 주도

* 신흥경제국: 중국,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터키, 멕시코 등 빠른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경험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을 지칭


- 지난 20년 동안 신흥경제국은 글로벌 농업이나 수산시장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 추세가 계속되어 기술 발전과 자원 활용 개선을 통해 생산을 증가시킬 전망


- 중국의 글로벌 식품 및 농업 소비주도 역할은 감소하고 있으며, 인도와 동남아시아는 도시 인구 증가와 부의 증가로 인해 영향력을 키울 것으로 예상


2. 농식품 소비량 증가

- 농·수산물 총사용량은 연간 1.0%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주로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

* 1인당 연간소득 1,550달러 미만(저소득), 1,550~3,895달러(중하위), 3,895~13,000달러(중상위), 13,000달러 이상(고소득)


- 글로벌 식품 소비는 전 세계 인구 및 소득 증가에 힘입어 연간 1.2%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전 세계 소비 중 동물성 식품의 소비 비중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가축 생산 확대로 인해 작물을 사료로 활용하는 소비량이 직접적인 식품 소비량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


3. 칼로리 및 영양 섭취 비율 상승


- 고소득 국가의 경우, 건강과 지속 가능한 식단의 상관관계에 대한 우려로 인해 지방·감미료 섭취가 감소하고 단백질 섭취가 변화하고 안정화


- 중간 소득 국가에서의 칼로리 섭취량은 주로 주식, 축산물, 지방 소비 증가로 인해 7%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저소득 국가에서는 칼로리 섭취량이 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지속 가능한 목표(SDG)인 ‘2030년까지 기아 종식’ 달성에 충분하지 않으며, 여전히 주식(主食)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예상


4. 온실가스(GHG) 배출량 증가, 배출 강도 약화


- 전세계적으로 작물 생산 증가는 경작지 확장이 아닌 기존 토지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주로 추진될 것


- 따라서, 농업의 직접 배출량은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성 향상을 통해 증가한 작물 생산량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


5. 식품 손실 및 낭비 절감


- 2030년까지 식품 손실 및 소비자의 낭비 50% 절감을 기준으로 시나리오를 도출한 결과, 전 세계 농업 온실가스 배출량이 4% 감축되고, 영양 부족 인구는 26% 감축된 1억 5천3백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


- 해당 시나리오는 소비자와 환경에 대한 잠재적 이점을 보여주지만, 생산자 입장에서의 가격 하락, 생산 감소 등 영향을 고려하지 않음


6. 농산물 무역 성장 속도 둔화


-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등은 주요 순 수출국으로서의 위치를 강화하지만,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수요량이 생산량을 넘어서기 때문에 순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글로벌 식량 안보를 보장하고 작물 실패, 극한 기후 등과 같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탄력적인 무역 시스템 필요성 강조


7. 농산물 가격 하락


- 주요 농산물의 실질 국제 기준 가격은 향후 10년 동안 약간 하락할 것으로 예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