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59호] 일본, 아세안 주요국의 연구개발 및 국제협력 동향 보고서 발표
- 등록일2024-04-09
- 조회수1659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4-01
-
출처
S&T GPS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아세안#연구개발#국제협력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59호] 일본, 아세안 주요국의 연구개발 및 국제협력 동향 보고서 발표
◈ 목차
I.이슈분석: 주요국의 안보, 국방 우주전략 및 시사점
II.주요 동향
III.단신 동향
IV.주요 통계
◈본문
4 일본, 아세안 주요국의 연구개발 및 국제협력 동향 보고서 발표
□︎ 과학기술진흥기구 아시아태평양종합연구센터는 아세안 국가와의 과학기술 외교 방향 모색을 위해 국가별 특징 및 정책 동향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 발표*(’24.3.)
* データから見るASEAN諸国の研究開発・国際連携状況と主な科学技術政策
○︎ 데이터로 본 아세안 6국*의 특징과 일본의 전략 분야별** 국가별 특징 및 동향 등 추후 국제공동연구의 방향성 검토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을 위해 조사 수행***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6개국
** AI, 양자, 재생에너지・수소, 바이오, 감염병
*** 조사 대상 기간 : 2018∼2022년
- 논문, 산학협력 출원 현황, 정책 동향 등의 데이터를 통해 일본 전략 분야별 아세안 6국의 특징을 제시
< 일본 전략 분야에 대한 국가별 특징 >
전략 분야 | 국가별 특징 |
AI | ⦁산업 응용과 직결되는 분야로 각국이 AI 전략을 수립하고 강력하게 추진 중 ⦁법 정비, 데이터-인프라 정비, 인재 양성, 생태계 구축, 응용 프로젝트 등을 수행 ⦁싱가포르는 싱가포르국립대(NUS), 과학기술청(A*STAR) 및 SingTel과 제휴를 통해 ‘인지 AI 연구소’를 설치한 난양이공대(NTU)가 연구의 중심 |
양자기술 | ⦁싱가포르는 NUS(컴퓨팅・센싱), A*STAR(컴퓨팅・소재)의 연구자를 중심으로 6국 중 가장 활발하게 연구 추진 중 ⦁태국, 필리핀은 연구개발센터 설치가 최근 정책으로 제시되었으나,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는 구체적 정책 미제시 |
재생에너지·수소 | ⦁각국 모두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태양광, 바이오매스, 육상-해상풍력, 지열 등 발전과 바이오연료 연구가 진행 ⦁태국을 제외한 아세안 주요 5개국은 수소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 ⦁말레이시아는 재생에너지・수소 분야에서 대학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 추진 중 ⦁싱가포르는 수소・태양광 발전의 논문이 다수 |
바이오 |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는 육종기술 등 당면한 농업 과제 해결 정책을 추진 중 ⦁식품과학 및 식물과학 분야에서는 태국・말레이시아에서 다수의 연구 추진 중 - 태국 송클라 프린스 대학교: 어패류 폐기물 사용 연구 - 말레이시아 노팅엄 대학교: 미세조류 연구 등 |
감염 | ⦁신종 코로나 사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감시-예방 체계 구축과 유사시 신속한 진단-치료 - 백신 개발이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정책의 중심 ⦁말라리아・뎅기열 연구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태국이 높은 점유율 차지 |
○︎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입장에서 아세안 6국과의 협력 방향성을 제시
1) 인도네시아
- (현황) ‘환경’ 분야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국제공동연구의 경우 ‘생태학・환경학’에서 높은 평가를 받음
- (협력 방향) ‘재생에너지’ 분야의 탄소중립 목표 및 ‘바이오’ 분야에서 현지의 농업 과제 해결 등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추진
2) 말레이시아
- (현황) ‘환경’, ‘수학・정보’, ‘소재’ 부문 논문 발표 수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상위를 차지. 친환경・지속가능과학 및 목질 재료, 고분자 과학에서 국제 공동연구의 평가가 높으며,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많은 논문을 발표 중
- (협력 방향) 재생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일부 소재 분야에서도 협력 추진
3) 필리핀
- (현황) 논문 발표 수가 대부분의 분야에서 6개국 중 최하위지만, 열대의학 및 감염병 등 지역적 특성을 갖는 의학 분야에서 국제공동연구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음
- (협력 방향) 감염증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추진
4) 싱가포르
- (현황) ‘환경’, ‘수학・정보’, ‘소재’ 부문에서 논문 발표 수가 상위에 위치. 첨단기술 분야의 국제적 평가가 높으며, 모든 지표에서 과학기술 선진국 수준에 도달
- (협력 방향) 산학협력을 포함하여 ‘중요・신흥 기술을 포함한 첨단 과학에서의 국제 공동연구’ 추진
5) 태국
- (현황) ‘수학’, ‘재료’, 특히 섬유 및 감염병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분야가 다수. ‘바이오’ 분야 중 균류학과 감염병에서 국제공동연구의 평가가 높으며, 정책적으로는 BCG(Bio・Circular・Green) 경제모델 추진 등으로 생명공학 산업의 구축 추진 중
- (협력 방향) 바이오・소재 분야(폐기물 처리 포함)와 감염병 분야에서 협력 추진
6) 베트남
- (현황) ‘수학’ 및 ‘컴퓨터 과학’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분야가 많으며, ‘생태학’에서 국제공동연구의 평가가 높음. 정책적으로는 국내 연구기관에 AI센터를 설치해 인재 육성에 주력
- (협력 방향) 수학・컴퓨터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추진
출처 :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 아시아태평양종합연구센터(2024.3.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