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말레이시아 프로바이오틱 시장: 건강과 웰빙을 위한 새로운 전망

  • 등록일2024-01-23
  • 조회수177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말레이시아 프로바이오틱 시장: 건강과 웰빙을 위한 새로운 전망



 

 

◈본문

■ 말레이시아 프로바이오틱 시장 개요

코로나19 확산 이후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은 예방 건강 조치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2023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방식을 추구하는 한편 면역 체계 강화를 위한 비타민과 식이 보충제 구입을 늘렸다.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 제품은 분말 또는 캡슐 형태이다.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포씩 개별 포장하는 등 새로운 형태로 출시하는 것 또한 유산균 제품 수요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츄어블 비타민 및 건강 보조 식품 또한 계속해서 인기를 끌 것이며, 특히 유아 영양제로 다수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부모들은 자녀의 건강 유지 및 전염 예방 차원에서 아이의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 비타민에 대한 구매 욕구를 보였다.


현존하는 다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는 유아용 비타민 및 식이 보충제로 사업을 다각화할 기회를 찾고 있다. 예를 들어, ‘GKB 키즈스타’는 DHA·엘더베리·레시틴·노루궁뎅이버섯 등의 성분이 함유된 제품으로 인지 발달, 학습 집중력 향상, 신체 성장에 효과적이다. 제조업체들은 또 다른 판매 전략 포인트로 면역력 향상 기능이 포함된 프로바이오틱에 주력하고 있다.


소화기 질환 개선 용도로 프로바이오틱 등의 건강 보조제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의약품에 비해 식이보충제가 더 안전하고 순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으로, 말레이시아인들의 치료용 소화제에 대한 의존도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소화제는 단기적인 증상 완화에 유용한 한편 건강 보조제는 건강 유지 방법으로 여겨지며 접근성이 좋은 슈퍼마켓, 대형 마트, 약국, 건강 식품 매장에서 더욱 쉽게 찾아 볼 수 있게 되었다. 건강관리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건강기능식품이 제공하는 잠재적 이점을 이해하고 있으며 해당 시장에 유입되는 신제품이 증가해 수요는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조식품 제조업체들은 건강관리 수단으로 식이 보충제를 활용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반응해 보다 구체적인 건강개선효과가 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을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Pyloress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환자를 타깃으로 한 프로바이오틱 제품군이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 또한 출시됐다. 프로바이오틱 보충제의 적용 범위가 점차 정교해지며 소화계 질환이 있는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소화제에 대한 수요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프로바이오틱 음료 및 기타 기능성 음료는 건강과 웰빙을 향상하는 실용적인 영양 섭취 수단으로써 말레이시아 시장 내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간편하고 쉽게 영양소 일일 섭취 권장량을 충족하고 소화 기능을 촉진하며, 정신을 맑게 하고 체중 감량 효과까지 볼 수 있는 음료를 찾고 있다. 말레이시아 보건부에 따르면, 소화불량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만연한 질환 중 하나이다. 2021년에는 전체 환자의 12.09%가 소화기 질환으로 입원했고 3.46%가 사망했다.




말레이시아 유산균 수입 및 수출 통계


1) 수입 통계

HS코드 210690로 분류되는 가능성 식품은 싱가포르에서만 2022년 전 세계 총 수입액의 약 33%에 해당하는 약 3억5700만 달러 규모의 수입이 이루어졌다. 한국은 2022년 말레이시아로부터 약 2500만 달러 상당의 제품을 수입했다. 지난 3년간 한국에서 말레이시아로 유입된 공급량에는 변동이 있었으며 해당 HS코드가 프로바이오틱 이외 다른 제품 또한 포함한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최근 수입현황(기타 조제 식료품 HS 210690)>    (단위: US$ 천 )


[자료: Global Trade Atlas]



수출 통계


말레이시아는 2022년 HS코드 210690에 해당하는 기능성 식품을 전 세계에 총 9억2100만 달러 상당 수출했다. 한국으로의 수출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20년에는 1만5100달러, 2021년에는 2만5800달러, 2022년에는 2만9800달러 증가했다.



<최근 수출현황(기타 조제 식료품 HS 210690)>     (단위: US$ 천)


 [자료: Global Trade Atlas]



말레이시아 프로바이오틱 제품 유통채널


2023년 기능식품 소매시장은 기업 간 합병 및 인수로 인해 더욱 집중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빅 파마시 헬스케어(Big Pharmacy Healthcare Sdn Bhd)의 경우, 말레이시아 전역에 400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하기 위해 세븐일레븐 홀딩스(7-Eleven Malaysia Holdings Bhd)로부터 케어링 파마시 그룹(Caring Pharmacy Group)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프로바이오틱 제품 유통 흐름도>


 [자료: Consumer Health In Malaysia, Euromonitor]



왓슨스(Watsons), 케어링(Caring), 빅파마시(Big Pharmacy), 멀티케어 파마시(Multicare Pharmacy), 헬스레인 파마시(Healthlane Pharmacy) 등 주요 드럭스토어는 이미 온라인상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으며 대부분은 이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건강보조식품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빅 파마시 등 일부 소매업체는 편의성과 신속한 배송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을 확보하기 위해 당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해당 서비스는 젊은 세대를 공략한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말레이시아 비타민 및 건강 보조제 시장에서 헬스 및 뷰티 전문 소매업체와 직접판매 매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편, 이커머스가 가장 역동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유통 채널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시장점유율이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말레이시아 온라인 입점을 희망하는 업체가 증가하며 전자상거래는 더욱 활기를 띌 것으로 전망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