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4 한국의 혁신정책 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 등록일2024-01-18
- 조회수183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4-01-09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혁신정책#전망 #인식조사
- 첨부파일
2024 한국의 혁신정책 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 요약
⑴ 디지털 전환 이슈의 긍정적 전망 하락 추세
⑵ 2024년 혁신정책, AI·첨단바이오 분야의 전략적 투자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필요
◈본문
◎︎ 한국의 혁신정책 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개요
▪︎ 조사대상: 총 1,000명(일반국민 800명, 혁신정책 전문가 200명)
▪︎ 조사시기: 2023년 12월 12일 ~ 27일(2주)
▪︎ 조사주기: 매년(2019~)
< 표 1 > 2024년 한국의 혁신정책 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항목
◎︎ 2024년 혁신정책에 대한 과학기술 인식과 전망
▪︎ 2024년, 일반국민은 안전한 국가(40.3%), 전문가는 풍요로운 국가(56.5%)를 희망
- 최근 3년 연속 한국의 전체범죄 발생건수의 증가로 인해 일반국민은 ‘안전’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
* 전체범죄 건수 (’21) 1,530,511 → (‘22) 1,570,629 → (‘23.上) 794,436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 표 2 >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희망하는 국가상 변화 추이 (단위: %)
주: 각연도별 가장 비중이 높은 응답 기준
자료: STEPI Outlook, 각연도
◎︎ (대외충격) 공급망·기후변화·탄소중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완화, 디지털 전환은 긍정전망 하락
- 공급망과 기후변화 이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감소추세이나 ICT부문의 무역흑자폭 축소 등의 영향으로 디지털 전환 부문에서 긍정적 전망 하락 추세
* ICT무역수지 추이(억불) (’21) 925.8 → (’22) 807.4 → (’23) 429.6(11월까지 잠정치)
< 그림 1 > 글로벌 환경 변화가 한국 혁신정책에 미친 영향과 전망
자료: STEPI(2024), 한국의 혁신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보고서
◎︎ 경제의 회복속도가 지연될 가능성이 상존함에 따라 현안문제의 해결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전망
- 청년일자리와 양극화는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2024년에 부정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
< 그림 2 > 현안 문제별 2024년 전망
자료: STEPI(2024), 한국의 혁신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보고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선택 2024, 20억 유권자가 설계할 글로벌 미래 혁신에 대응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전략
-
다음글
- [STEPI Outlook 2024] 바이오 정책 전망, 미래를 향한 도전 : 한국 합성생물학의 새 지평을 위한 3대 원칙과 5대 전략
지식
동향